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 도메인을 구입했지만, 이 도메인을 AWS 서비스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막히셨나요? 그런 분들을 위해 준비한 이번 포스팅은 AWS Route 53으로 도메인을 연결하는 법과 네임서버 설정 방법을 초보자 관점에서 쉽게 설명합니다.
Route 53은 AWS에서 제공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웹 서비스로, 도메인 구매, 호스팅 영역 생성, 레코드 관리 등을 통해 웹사이트 트래픽을 올바른 리소스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AWS Route 53은 단순한 DNS 서비스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AWS 서비스를 기반으로 웹사이트를 운영 중이라면, Route 53을 사용해 도메인을 관리하면 훨씬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해집니다.
먼저, Route 53에서 도메인에 해당하는 호스팅 영역을 만들어야 합니다.
example.com (자신의 도메인 입력)이 NS 레코드는 다음 단계에서 도메인을 Route 53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제 도메인 등록 기관 (예: 가비아, 카페24, GoDaddy 등)에서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Route 53의 NS로 변경해야 합니다.
예시:
ns-123.awsdns-45.com
ns-678.awsdns-89.org
ns-234.awsdns-67.co.uk
ns-901.awsdns-12.net
네임서버를 AWS로 연결했으니, 이제 실제 웹사이트와 도메인을 연결해야 합니다.
www (원하는 서브도메인)완료 후 도메인에 접속하면 EC2 서버로 연결됩니다.
example.com)네, 가능합니다. 기존에 다른 곳에서 구매한 도메인도 Route 53과 연동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도메인의 네임서버(NS)를 Route 53에서 발급받은 값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그러면 도메인의 DNS 관리를 AWS에서 할 수 있게 됩니다. 도메인 자체는 다른 곳에서 구매해도 문제없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DNS 전파 지연입니다. 일부 DNS는 최대 48시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음을 점검하세요:
DNS 확인 툴 (ex: whatsmydns.net)을 통해 실시간 상태를 체크해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네, 가능합니다. Route 53의 Hosted Zone에서는 서브도메인별로 자유롭게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log.example.com → 워드프레스 서버shop.example.com → 쇼핑몰 호스팅api.example.com → 백엔드 서버각각의 A 레코드 또는 CNAME을 원하는 서버 IP나 서비스로 연결하면 됩니다.
두 가지 레코드를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example.com (공란) → A 레코드로 웹 서버 연결www.example.com → CNAME으로 루트 도메인 또는 동일 서버 연결또는 웹 서버 설정에서 www → non-www 리다이렉트를 적용해 도메인 통일도 가능합니다. SEO 관점에서는 하나의 대표 도메인만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Route 53에서는 MX 레코드도 추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Gmail, Naver Works, Zoho 등 외부 메일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MX 레코드를 그대로 복사해 Route 53에 등록하면 됩니다. MX 외에도 SPF, DKIM, DMARC 설정도 TXT 레코드로 함께 구성할 수 있어 이메일 발송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자동차를 사랑하는 많은 운전자들이 한 번쯤 고민해본 문제가 바로 연료첨가제입니다. 주유소에서, 온라인 쇼핑몰에서, 자동차용품점에서 "엔진을…
다이어트 열풍과 함께 '제로 칼로리'를 내세운 탄산음료가 폭발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로 탄산음료는 많이…
최신 아이폰 14 프로맥스는 강력한 성능과 함께 뛰어난 배터리 용량을 자랑하지만, 올바른 사용법을 모르면 배터리…
윈드라이브(OneDrive)를 사용하다 보면 어느 순간 “동기화 중지됨”, “저장소 가득 참”이라는 메시지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