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클라우드 DB 서버 설치하고 외부 연동하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CP)을 이용하면 직접 가상 서버(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원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설치하고 외부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 ERP, 분석 툴 등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클라우드 상에서 관리함으로써 성능과 보안, 확장성까지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 클라우드 DB 서버 설치하고 외부 연동하기 과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합니다.
DB 서버 설치 전 준비 사항
DB 서버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 단계까지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네이버 클라우드 DB 서버 설치하고 외부 연동하기를 위한 본 작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DB 서버 설치 (MySQL 예시)
이번 예시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DB인 MySQL을 기준으로 설치 과정을 설명합니다. Ubuntu 서버 기준입니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sudo apt install mysql-server -y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sudo systemctl status mysql sudo systemctl enable mysql설치가 완료되면 mysql -u root -p 명령어로 DB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제 외부 연동을 위한 설정을 추가로 진행해야 합니다.
외부 접속을 위한 MySQL 설정
기본 설정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MySQL DB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외부 연동을 위해 다음 설정을 적용해야 합니다.
sudo nano /etc/mysql/mysql.conf.d/mysqld.cnf bind-address = 127.0.0.1 → bind-address = 0.0.0.0 으로 변경CREATE USER 'youruser'@'%' IDENTIFIED BY 'yourpassword'; GRANT ALL PRIVILEGES ON *.* TO 'youruser'@'%' WITH GRANT OPTION; FLUSH PRIVILEGES;sudo systemctl restart mysql이제 외부 컴퓨터에서 Workbench, DBeaver,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DB 서버의 공인 IP와 포트 3306을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 설정이 완료되면 네이버 클라우드 DB 서버 설치하고 외부 연동하기가 완료된 것입니다.
활용 예시: 웹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치한 DB 서버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ode.js 기반의 웹 서버에서 MySQL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코드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const mysql = require('mysql');
const db = mysql.createConnection({
host: '서버공인IP',
user: 'youruser',
password: 'yourpassword',
database: 'yourdb'
});
db.connect((err) => {
if (err) throw err;
console.log('Connected to MySQL DB!');
});
이렇게 설정하면 클라우드에 구축한 DB 서버를 외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호출할 수 있습니다. 단, 접속 IP 제한 및 보안 정책을 강화하여 무차별 접속을 막아야 하며, SSL 연결 설정도 권장됩니다.
Q&A
Q. DB 서버를 직접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에서는 직접 OS 위에 DB를 설치하지 않고도, **Managed DB 서비스(RDS)**를 제공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복잡한 설치나 보안 설정 없이 클릭 몇 번으로 MySQL, PostgreSQL, MSSQL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RDS는 자동 백업, 스냅샷, 장애 복구 등의 기능도 기본으로 제공되어 운영 부담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비용이 자체 설치보다 높을 수 있으므로, 예산과 관리 편의성 중 어느 쪽을 우선시하느냐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Q. 외부 접속을 허용하면 보안에 문제가 생기지 않나요?
외부 접속을 허용하면 분명히 보안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외부에서 DB에 접속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외부 접속이 꼭 필요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보안 대책을 병행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정기적인 로그 점검과 보안 패치 적용을 통해 공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SSH 터널링을 통해 DB에 간접적으로 접속하거나, VPN을 활용하는 것도 안전한 방법입니다.
Q. 외부 애플리케이션에서 DB 접속이 안 될 때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외부 접속 오류가 발생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차례대로 점검하세요.
/etc/mysql/mysql.conf.d/mysqld.cnf에서 bind-address가 0.0.0.0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에서 접속 가능한 사용자 권한이 제대로 부여되었는지 확인위 단계를 점검해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 서버의 MySQL 로그(/var/log/mysql/error.log)를 참고해 보다 상세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를 사랑하는 많은 운전자들이 한 번쯤 고민해본 문제가 바로 연료첨가제입니다. 주유소에서, 온라인 쇼핑몰에서, 자동차용품점에서 "엔진을…
다이어트 열풍과 함께 '제로 칼로리'를 내세운 탄산음료가 폭발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로 탄산음료는 많이…
최신 아이폰 14 프로맥스는 강력한 성능과 함께 뛰어난 배터리 용량을 자랑하지만, 올바른 사용법을 모르면 배터리…
윈드라이브(OneDrive)를 사용하다 보면 어느 순간 “동기화 중지됨”, “저장소 가득 참”이라는 메시지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 이는…